728x90
반응형

RTK 기술을 이용한 정밀 위치 측위 단말기 개발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보려 합니다. 총 3가지 방법이 있을 듯합니다. 아래 RTK 기술을 이용한 3가지 방법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에 대해 간단히 정리해봤습니다.
1. 단말기(Device)의 GNSS 모듈에서 정밀 위치 측위를 하는 경우

2. 단말기(Device)의 MCU에서 정밀 위치 측위를 하는 경우

3. 단말기가 아닌 서버(Server)에서 정밀 위치 측위를 하는 경우

어디 위치에서 정밀 위치 측위 알고리즘을 동작할지를 고민하면 될 듯합니다. 위에 3가지 방식마다 각각 장점 및 단점이 있기 때문에 개발 상황에 맞게 시스템을 구성하면 될 듯합니다.
- RTK 지원이 가능한 GNSS 모듈을 사용할지?
- RTK 오픈소스를 이용해서 개발할지?
- Power consumption, cost 등을 고려하여 측위 단말기나 서버 둘 중 어디에서 RTK를 할지?
저는 위 3가지 방법 중에서 한 가지 방법으로 개발을 해봤고 나머지 2가지 방법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여러 실험 및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 완벽한 시스템 구성 및 정밀 위치 측위 개발까지는 못 했지만, 개발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GNSS 기술 및 실험 > RTKLIB' 카테고리의 다른 글
[RTKLIB] KT IoTMakers 이용한 정밀 위치 측위 단말기 위치 데이터 수집 시험 (0) | 2021.03.15 |
---|---|
[RTKLIB/ublox] RTK 동작 시간에 따른 정확도 비교 시험 (0) | 2021.01.28 |
[RTKLIB/Skytraq] S1216F8-GL EVK 위치 측위 성능 실험 (0) | 2020.09.23 |
[RTKLIB/ublox] 기준국 위치(기선거리)에 따른 측위 성능 비교 실험 (8) | 2020.08.26 |
[RTKLIB] RTKNAVI(윈도우)를 이용한 시험 및 사용법 (21) | 2020.07.17 |
댓글